티스토리 뷰

반응형

「 한여름에는 왜 공포영화를 볼까? 공표영화와 뇌과학 상관관계. 」


출처 : 인디포스트

더운 여름에는 더위를 식히기 위해서 오싹한 공포영화를 많이 보는데요.. 왜 공포영화를 보면 

더위를 식힐 수 있다고 하는 것일까요? 정말 공포영화가 더위를 식힐 수 있을까요? 

공포영화를 보면 우리 몸의 자율신경계가 반응을 하여 오싹한 느낌을 느끼게 한다고 합니다. 

자율 신경계 중 하나인 교감 신경계가 공포영화를 볼 때 작용하여 반응을 일으켜 우리 몸이 서늘한 

기분을 느끼게 합니다.  어떤 상황에 대해 대처해야 하는 반응을 보이는 것이 바로 교감 신경이 

반응하는 것입니다. 

특히 무서운 공포를 느낄 때 반응의 신호를 보내는 곳이 뇌 속의 '편도체' 라는 곳입니다.  편도체는 

공포를 관장하는 부분인데요.. 편도체가 작거나 없는 사람은 실제로 공포를 느끼지 못한다고 해요
공포를 느끼지 못하는 사례를 연구한 결과가 있는데요.. 선적적으로 편도체에 병변을 가지고

태어난 한 환자를 대상으로 공포스러운 영화, 거미, 뱀을 보여 줬을 때 아무런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고 합니다. 

 


공포영화를 볼 때 서늘한 기분을 느끼는데 이는 과학적으로 신체 반응의 영향이라고 합니다. 


공포 영화를 보고 놀라면 교감신경이 흥분되어 피부 혈관이 수축되는데 혈관이 수축되면 에너지

방출이 줄어들고 심장 박동 수가 빨라진다고 합니다.  그렇게 되면 우리 몸은 혈압이 상승하고

손바닥에서  땀이 나며 근육이 경직됩니다.

근육이 경직 되면 혈액 공급이 줄어 피부 온도가 내려가면서 서늘함을  느끼게 된다고 합니다. 

 


또한 피부에는 털을 세우는 '입모근' 이 있는데 공포심을 느껴 교감 신경이 활성화되면 '입모근'이

수축하고 이 과정에서 우리는 '닭살 돋는다' 라는 것의 증상이 나타나게 되는 것입니다. 

공포영화를 보면서 느끼는 공포심에 대한 생리 반응을 상쇄하기 위해서 교감 신경에서는 기분을

좋게 하는 도파민이나 아드레날린 같은 물질이 분비되어 정신적으로 짜릿한 쾌감도 느껴지는 

것입니다. 

이렇게 우리는 공포영화를 보면서 교감신경의 반응으로 서늘한 느낌을 받게 되고 또한 도파민

아드레날린  같은 물질의 분비로 쾌감이 동시에 느껴지는 것입니다. 

 


또한, 공포영화 속 음향은 공포심을 유발하는 장면에서 더욱 빨라지게 되는데요 영화를 보는

사람들의  심장박동수도 음향에 맞춰 빨라지면서 몸이 긴장을 하게 된다고 합니다. 
긴장을 하게 되면 몸이 경직되고 근육이 경직되면 혈액공급이 줄어들어 피부 온도가 내려가면서 

서늘함을 느끼게 되는 것이지요. 

영화는 과학입니다. 

관객의 반응을 끌어내기 위해서는 우리 인체에 미치는 호르몬의 영향과 뇌 반응까지 연구하여

반영하는 것이지요. 

어떻게 좀 더 공포스러움을 더 느끼게 할 수 있는지를 연구하고 반영하는 것이지요. 

 

긴 장마로 인해 한여름의 무더위는 느끼지 못하지만 우중충한 날씨로 인해 다운되어 있는 우리의

자율 신경을 끌어 올리기 위해 공포영화 한 편 어떨까요?  

 

올 여름 더위사냥 은 '공포영화' 어떠신가요? 

 

반응형